1. 개요
설비공 사는 공기조화 설비, 냉난방 설비, 위생 설비, 전기설비, 급수 급탕설비, 배수 설비 또는 급 배수 및 소방설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실내 건축공사에서 접하게 되는 설비공 사는 공기 조화 설비공사, 급배수설비공사, 소방설비 및 전기 설비공 사이다 설비공 사는 별도의 전공자가 공사를 진행하나, 실내 건축시공 현장에서는 각 분야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다른 공정이나 공사 종류에 대하여 이해를 못 하여 서로 충돌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2. 공조설비
실내 건축에 있어서 기본적인 난방과 냉방시설을 갖추는 것은 어떤 공정보다 우선 되므로 기존의 건축물의 시설상의 문제점이나 부하 등을 조사하고 실내 공간의 기능과 용도에 다른 추가 난방이나 냉방시설을 고려한다. 실내 건축에서의 냉난방 시스템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기존 건축물의 시스템 이외에 적합한 용량의 냉난방 겸용 패키지 유닛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으며, 부족한 용량을 공사 시작 전에 급거 및 배기덕트를 교체하거나 추가하여 배치한다. 공기 조화 시설은 습도 조절, 환기, 정화를 위한 공조 시설 등으로 세분되며, 위생시설을 요구하는 병원이나 공장에는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
2-1. 공기조화
공기조화는 실내의 온도, 습도, 세균, 냄새, 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일이다. 공기조화는 공기 조건 또는 공기 조정이라고도 한다.
2-2. 환기
환기는 어떤 장소의 공기를 그 이외의 공기와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환기는 보통 실내의 공기를 창밖의 공기와 교환하는 뜻으로 사용한다. 창문이나 환기통 등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나 환풍기를 사용하는 기계환기로 나눈다. 일반적인 환기의 목적은 더러워진 실내 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것으로 불필요한 열이나 습기 등의 제거도 포함된다.
2-3. 냉방
냉방은 실내의 온습도를 냉각 일이다. 보통 주택, 음식점, 레스토랑, 소극장 등 소규모 건물에서는 에어컨을 설비하여 냉방 하지만, 규모가 큰 건물에서는 냉방·온방을 같이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 사용한다.
2-4. 난방
난방은 건물의 내부를 따뜻하게 하는 일이다. 난방에는 개별식 난방과 보일러 등에 의해 만들어진 열매를 여러 방으로 분배하는 중앙식 난방이 있다. 중앙식 난방에는 실내에 방열기를 놓는 직접 난방과 온풍을 보내는 간접 난방이 있다.
3. 전기설비
3-1. 개요
실내 건축에서 전기설비는 전기동력을 공급하는 전열설비와 조명기구를 연결하는 조명설비로 나눌 수 있다. 전열설비에는 강 전과 약전으로 나눌 수 있다. 강 전은 PC, 가전제품, OA기 등을 구동할 때 사용되는 위험한 전기를 일컬으며, 약전은 전화 단자, TV 단자, LAN 케이블, 소방 등과 같이 사람의 손에 닿아도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약한 전기를 말한다. 전기설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안전에 관한 사항이다. 따라서 법규에 정해진 안전한 기기를 사용하여 안전한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실내 건축설계 도서에는 각종 스위치류, 콘센트로, TV 단자, LAN 케이블 단자 등에 대한 위치 표시를 정확하게 하여야 준공 후 사용자가 불편 없이 쾌적한 환경에서 시설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내 건축에서의 전열 공사는 주로 콘센트, 스위치, 각종 단자 등의 배관 및 입선 작업이 대부분이다. 주동력 선을 끌어들이는 작업은 건축의 전기 파트에서 작업할 부분이며, 간혹 특정 시설물 입주에 따른 전기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전기용량 증설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설계할 때에는 대상 건물의 전기용량이 작업에 충분한지를 우선 파악해야 한다.
주동력 선은 트레이 또는 레이스 웨이 등에 모든 전선을 올려놓는다.
실내 건축에서의 조명설비용 전기배관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스틸 파이프 배관, 플라스틱 파이프 배관, 노출배관이다. 이 중에서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은 스틸 파이프 배관이다. 이는 누전이나 화재에 안전하기 때문이다.
4. 급배수설비
4-1. 개요
실내 건축 설비에 있어서 급수설비 방식에는 수도 직결 방식, 고가수조 방식, 압력 수조 방식, 펌프 직송 방식 등이 있으며 사용용수는 시수, 우물물, 재사용 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수설비 조닝은 사용 목적, 편의상 용도 등에 의해 분류하며 목적상 분류하면 상수 계통, 잠 용수 계통, 생산공정 계통, 재사용 수 계통, 특수 계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배수 설비는 세면기, 욕조, 변기 등에서 배수되는 여러 가지 고형물이나 오수를 배수관에서 막히지 않게 하여 공공하수도나 정화조까지 보내는 것이다. 또 동시에 배관에서 실내로 전해지는 냄새를 차단하는 것이다. 배수의 종류는 물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서 올 수, 잡배 수, 우수, 용수, 특수 배수로 구분한다. 오수 및 잡배 수는 생활 배수이며, 우수 및 용수는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특수 배수는 산업폐수 등을 말한다.
급수설비는 실내에 상수 및 중수를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상수는 물을 마시거나 목욕, 세안 등을 할 때 사용되며, 중수는 대소변기의 세척수로 사용된다.
5. 소방설비
5-1. 개요
실내 건축에서의 소방설비란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의 방법으로 방호 대상물에 설치하여 화재 확산을 막거나 억제하는 기구 및 설비를 말한다. 옥내소화전 설비, 옥외소화전 설비, 동력 소방펌프 설비,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물 분무 등의 직접 소화설비와 연기 감지기, 비상등, 소방 스피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소화전 등의 설비가 되어 있는 곳에는 어떠한 미관상 처리보다 우선하여 표지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비상등, 유도 표지, 소방 스피커, 감지기, 스프링클러 등은 건축법규에 명시되어 있는 조건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실내건축 > 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건축 시공] _07. 유리공사 (0) | 2022.08.25 |
---|---|
[실내건축 시공] _06. 타일공사 (0) | 2022.08.23 |
[실내건축 시공] _05. 도장공사 (0) | 2022.08.22 |
[실내건축 시공] _04. 목공사 (0) | 2022.08.19 |
[실내건축 시공] _03. 경량철골공사 (0) | 2022.08.19 |